네이버 검색팀 공식 블로그를 통해 5/20 검색 알고리즘 변경이 안내 되었습니다. BERT 모델을 적용하였다고 발표했고, 사용자 의도를 이해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클라랑스’ 라고 검색할 경우 검색자의 의도는 브랜드 사이트, 쇼핑, 판매점 검색 등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 사용자 목적에 부합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한다는 것 입니다. 👍

BERT란?
BERT(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nasformers for Language Understanding)은 구글에서 검색엔진 고도화를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그 외 멋진 전문가분의 글이 있어 링크 남깁니다. (참고; [BERT] BERT에 대해 쉽게 알아보기1 – BERT는 무엇인가, 동작 구조)
네이버 SEO를 위한 준비

2019년 구글에서 BERT 모델을 적용할 때 이런 큰 변화에 따라 각 기업의 SEO 담당자는 무엇을 했을까요? 그리고 이번 네이버 검색알고리즘에 BERT가 적용됨에 따른 각 기업의 전략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라는 자연어 처리기능이 대폭 향상됨에 따라 조금 더 다양한 노출과 유입을 위한 방안이 중요합니다. (참고: BERT Explained: What You Need to Know About Google’s New Algorithm)

네이버의 경우 사용자별 의도를 분석한 네이버의 ai가 검색한 사용자 의도에 따라 검색결과를 보여준다는 걸까요? 관련 소개글만으로는 아직 개별적인 사용자에 대한 검색결과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참고: https://m.blog.naver.com/naver_search/222358267616)
맺음말
’클라랑스의 립오일’이 네이버 검색상단에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전 이미 예상 답안을 가지고 있지만 제 예상과 다르면 좋겠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업데이트, 검색창 URL 입력수 제한 등 계속적인 네이버 검색의 변화가 기대됩니다. 네이버만을 위한 변화가 아닌 사용자를 위한 진화이기를 기원합니다. 🙏🙏🙏
관련글 보기
👉 네이버 유입 분석을 위한 네이버 파라미터 분석 2021년판
심 영석
ENFP 또는 ENTP. 둘 중 하나인 디지털 몽상가입니다.
외국계 IT회사 재직 중 '창업공모전' 당선으로 창업을 하였고, 디지털 마케팅 컨설턴트로 삼성전자, 엘지전자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현재 신생 마케팅 에이전시 필라프에서 Marketing Director로 재직중 입니다. 😎😁😘😊
바닷가에 집 짓고 낮에는 서핑, 저녁엔 술마시며 피아노 치는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